워드프레스 글 발행 시 검색엔진에 자동 색인 요청하는 방법

각 검색엔진에 사이트맵을 등록해두면 주기적으로 알아서 색인이 진행됩니다. 하지만 트래픽이 많지 않은 우리의 블로그는 몇 날 몇 일이 지나도 가져가지 않습니다. 그래서 빨리 검색엔진에 등록 되도록 하려면 일일이 URL을 색인 등록 요청을 해야만 합니다. 너무 번거롭죠.

하지만 워드프레스에서는 글 발행(혹은 수정)만 하면 플러그인과 API키를 이용해서 자동으로 색인요청을 할 수가 있습니다. 제가 이번에 소개해드릴 내용은 글 발행 시 구글(Google)과 빙(Bing) 검색 엔진에 자동으로 색인요청이 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입니다. 딱 한번만 설정해두시면 그 이후로는 손 댈 필요 없으니 순서대로 차근차근 하나씩 진행하시기 바랍니다.

Search

사전 작업1 : 구글 계정 및 기본 플러그인 준비

구글 계정

아래 서비스에 대한 구글 계정을 통일하셔야 합니다. 개별로 직접 등록하는 방법도 있으나, 번거로워집니다. 구글 서비스들을 한 번에 설정하기 위함입니다.

각 사이트에 접속하셔서 계정을 만드시면 됩니다. 사이트 연결은 나중에 플러그인을 통해 한 번에 진행합니다.

  • 구글 애널리틱스
  • 구글 서치 콘솔
  • 구글 애드센스 (추후 승인 시 연결을 위해, 필수 아님)

플러그인 설치

Head & Footer Code를 설치하셔야 합니다. 사이트 인증을 위한 메타 태그를 쉽게 등록하기 위함입니다.

플러그인 검색에서 “Head & Footer” 입력하시면 나옵니다. 설치 후 활성화를 해줍니다.

head&footer플러그인

사전작업2 : 구글 서비스들 한 번에 등록

위 준비물 단계에서 여러 서비스의 구글 계정을 통일하셨기 때문에 이제 플러그인을 이용해서 한 번에 등록하실 수 있습니다.

플러그인 설치

플러그인 검색에서 “사이트 킷” 입력하시면 아래와 같이 나옵니다. 설치 후 활성화 버튼을 눌러줍니다.

구글사이트킷

사이트킷 설정

좌측에 사이트킷 설정 버튼이 생깁니다. 설정에서 모든 계정 설정을 연결합니다. 그냥 체크표시들 누르고 게속 다음 다음 누르시면 됩니다.

애드센스의 경우에는 아직 승인이 되지 않으셨다면 그냥 넘어가시면 됩니다. (추후에 승인받으신 뒤 연결하시면 됩니다.)

사이트킷설정

설정이 완료되시면 아래와 같이 “연결했습니다”로 표시됩니다.

구글에 로그인하기는 설정이 안되어 있는데, 이 부분은 무시하시면 됩니다. 3가지만 연결되어 있으면 성공입니다.

  • 검색 콘솔 (구글 서치 콘솔) : 구글 검색엔진 등록 및 노출 통계 확인 서비스
  • 분석 (구글 애널리틱스) : 사이트의 각종 통계 정보 확인 서비스
  • 페이지스피드 인사이트 (구글 페이지 스피드 인사이트) : 페이지 성능 측정용 서비스
사이트킷 설정 완료

구글 서치 콘솔 사이트맵 등록 확인

구글 사이트맵이 등록되어 있는지 확인합니다. 자동으로 등록되는 경우도 있는 것 같은데, 그렇지 않은 경우도 존재하는 것 같습니다.

제 경우에는 자동으로 사이트맵 등록이 되지 않아서 직접 등록해주었습니다. 만일 저처럼 사이트맵이 입력되지 않으신 상태라면 아래 3가지를 입력하시면 됩니다.

  • <내 사이트 주소>/sitemap.xml
  • <내 사이트 주소>/sitemap_index.xml
  • <내 사이트 주소>/rss

빙(Bing) 검색엔진에 자동 색인 요청하기

빙 검색엔진 등록 이전에 서치콘솔 설정을 먼저 한 이유는, 서치콘솔 설정을 한번에 빙으로 가져올 수 있기 때문입니다. 만일 서치콘솔 설정을 하지 않으셨다면 위 항목을 먼저 진행하시기를 권해드립니다.

플러그인 설치

플러그인 검색에서 “Bing URL” 으로 검색하시면 Bing URL Submissions Plugin 이 나옵니다. 이걸 설치 후 활성화 합니다.

빙 플러그인

사이트 등록

① 먼저 빙 웹마스터 도구 사이트에 접속합니다.

빙 웹마스터 도구 사이트

② 좌측 상단에서 지구본을 누르신 후 사이트 추가를 클릭합니다.

빙 웹마스터도구 사이트 추가

③ 가져오기를 눌러서 서치콘솔에 등록된 모든 정보를 한 번에 가져옵니다.

빙 웹마스터도구 가져오기

API 키 등록

① 빙 웹마스터 도구에서 우측 상단의 톱니바퀴 모양을 클릭한 뒤, API 액세스 권한을 누릅니다.

API 엑세스 권한

③ API 키 표시를 클릭한 뒤 API 키를 복사합니다.

API 키 표시

④ Bing URL Submissions Plugin에 복사한 API 키를 입력하신 후 Start 를 누릅니다.

플러그인 – Bing URL Submissions Plugin – Settings 에 들어가시면 입력 가능합니다. 성공하시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옵니다.

빙 API 등록 성공

구글(Google) 검색엔진에 자동 색인 요청하기

이제 우리의 주 타겟인 구글에 대해서 정리해보겠습니다. 조금 단계가 많고 복잡할 수 있으나 차근차근 따라해보세요.

플러그인 설치

플러그인 검색에서 “Instant Indexing”을 입력하시면 Instant Indexing for Google 이라는 플러그인이 나옵니다. 설치 후 활성화 합니다.

그럼 원드프레스 관리자 화면에 Rank Math 하위에 Instant Indexing이라는 메뉴가 생깁니다.

구글 API 획득 및 등록 (단계가 많으니 차근차근)

① 구글 클라우드 플랫폼에 접속합니다.

유료 서비스와 무료 서비스가 있습니다. 우리는 무료 서비스를 이용할 것이므로 아래의 사이트로 접속합니다.

구글 클라우드 플랫폼 무료

  • Google 클라우드 플랫폼 (이겁니다.)
  • Google Cloud : 클라우딩 컴퓨팅 서비스 (이거 아닙니다.)

처음 접속하시면 서비스 약관이 나오는데 모두 체크하신 뒤 동의 및 계속하기를 누릅니다.

구글 클라우드 플랫폼 약관동의

② 새 프로젝트 생성

상단 왼쪽의 “프로젝트” 버튼을 누르신 후 “새 프로젝트”를 클릭합니다.

프로젝트 이름을 입력합니다. 프로젝트 이름은 헷갈리지 않도록 사이트 이름으로 하시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

구글 클라우드 플랫폼 새프로젝트

③ 서비스 계정 만들기

왼쪽 메뉴에 서비스 계정이라고 나와 있습니다. 이걸 클릭하신 뒤, 서비스 계정 만들기를 클릭합니다.

아까 만들어둔 프로젝트 선택이 되어 있으신지 상단에서 확인하셔야 합니다.

구글 클라우드 플랫폼 서비스계정 만들기

서비스 계정 이름을 입력하신 후, 이메일 주소를 복사해둡니다. 메모장이나 다른 문서 파일 등에 기록해두시기 바랍니다. 저는 구글 문서에 기록해두었습니다.

서비스 계정의 이메일 주소를 복사해두셨다면, 만들고 계속하기가 아니라 완료를 누릅니다.

구글 클라우드 플랫폼 서비스계정 만들기 완료

④ API 키 생성(json 파일)

생성한 서비스 계정을 클릭하시면 키를 만드실 수 있습니다. 새 키 만들기를 합니다. (JSON)

그러면 json 파일이 다운로드 폴더에 생성됩니다. 잠시 뒤에 이 파일을 사용할 겁니다.

새 키 만들기

⑤ API 및 서비스 사용 설정 – Web Search Indexing API

왼쪽 상단의 줄 세 개 클릭하신 뒤, “API 및 서비스” – “사용 설정된 API 및 서비스” 를 클릭합니다.

사용 설정된 API 및 서비스

API 및 서비스 사용 설정을 클릭한 뒤, Indexing API를 검색하여 “Web Search Indexing API”를 들어가서 “사용”으로 설정합니다.

API 및 서비스 설정
Web Search Indexing API 설치

⑥ 구글 서치 콘솔 권한 부여

구글 서치 콘솔 바로가기

이제 구글 서치 콘솔로 이동합니다. 등록해둔 사이트를 선택한 뒤, 하단의 설정 – 사용자 및 권한을 클릭합니다.

사용자 추가를 클릭한 뒤, 아까 생성했던 이메일 주소(구글 클라우드 플랫폼 서비스 계정)를 사용자 추가합니다.

여기서 주의하실점! 반드시 “소유자” 로 설정하셔야 합니다. 저는 소유자로 하지 않아서 동작하지 않아 한참 헤맸습니다.

구글 서치콘솔 사용자 추가

⑦ Instant Indexing에 json 파일 업로드

플러그인 – Instant Indexing – Settings 메뉴에 진입합니다.

Google API Settings 탭에서 “파일 선택” 버튼을 누른 뒤 아까 다운로드 받았던 json 파일을 플러그인에 업로드 해줍니다.

체크박스는 2가지를 선택해줍니다. (글, 페이지)

변경사항 저장을 눌러줍니다.

json 파일 업로드

⑧ Send to API 테스트

Console 탭을 선택합니다. 그리고 하단의 Action에서 Google: Publish/update URL을 선택합니다.

Send to API를 누르시면 하단에 Sucess 메시지가 나옵니다. 그리고 하루에 요청할 수 있는 횟수가 하나 깎입니다. (200개로 시작)

Send to API 테스트 성공

만일 Send to API를 눌렀을 때 Success가 나오지 않으실 경우, 위 단계를 다시 한번 하나하나 체크하셔서 누락되거나 잘못 설정된 부분이 있는지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저의 경우는 서치콘솔에 소유자로 등록하지 않아서 권한 오류가 발생했습니다.

네이버는 자동 색인 요청 가능한지?

결론적으로는 현재는 신뢰할 만한 방법을 찾지 못했습니다.

물론 네이버 서치 어드바이저에서 Index Now라는 기능을 이용해서 자동으로 색인 요청을 할 수 있다는 내용을 확인했습니다. 그런데 플러그인 검색을 해보면, 신뢰할 수 있는 작성자가 만든 Index Now 플러그인이 없습니다.

이름이 Index Now라고 되어 있는 플러그인을 설치해봤는데, API 키 설정 화면도 나오지 않고 리뷰를 보면 절반의 사용자들이 동작하지 않는다는 코멘트를 남겼길래 바로 지웠습니다. (왠지 사기인 것 같아 불안해서…)

네이버 서치 어드바이저에 사이트맵 등록 방법

어차피 사이트맵 등록 해두면, 며칠이 걸리더라도 긁어가기 때문에 아래에 등록 방법을 남겨둡니다.

네이버 서치 어드바이저

① 사이트 주소 등록

사이트 등록 화면에서 URL을 입력 해줍니다.

그리고 나오는 사이트 소유확인 화면에서 “HTML태그” 부분의 메타 태그 값을 복사해줍니다.

② 소유권 확인을 위한 메타 태그 입력

앞서 설치한 플러그인을 이용해서 메타 태그를 쉽게 입력 가능합니다.

워드프레스 관리자 화면으로 와서 도구 – Head & Footer Code 선택합니다.

Head Code 부분에 복사한 메타 태그를 입력합니다. 그리고 하단의 변경사항 저장 버튼을 클릭합니다.

③ 사이트 소유권 확인 요청

이제 다시 네이버 서치 어드바이저로 돌아와서 “소유 확인”버튼을 클릭 합니다.

보통은 바로 성공이 되지 않습니다. 진행이 되지 않으실 경우에는 1~2시간 정도 기다리셨다가 나중에 신청하시면 됩니다.

참고로 메타 태그 값은 바뀌지 않으므로 서치 어드바이저 페이지를 그 때까지 열어두실 필요는 없습니다.

④ (소유권 확인 성공 후)사이트맵 등록

요청 – 사이트맵 제출 부분에 사이트맵 주소를 입력해줍니다. 1개밖에 입력이 되지 않아서 sitemap.xml 만 넣어줬습니다.

요청 – RSS 제출 부분에 RSS 주소를 입력해줍니다.

마무리

많이 어려우셨나요? 저도 처음 설정할 때 많이 헤맸기 때문에 추후에 다른 워드프레스를 개설하게 되면 다시 참고하기 위해 포스팅을 해봤습니다. 아무래도 새로운 환경(워드프레스)에서 다시 시작하려다보니 모든 것이 새롭고 그로 인해 어려움이 있습니다. 하지만 하나하나 쌓아나가다 보면 분명 노력에 대한 대가가 발생할 것이라고 믿고 있습니다. 여러분도 포기하지 마시고 차근차근 배워나가시면 좋겠습니다. 화이팅!

아 그리고 만약 클라우드웨이즈로 워드프레스를 시작하셨다면, 결제 설정을 하지 않고 무료 이용 기간 3일이 지나면 위에서 어렵게 설정한 내용이 모두 날라가게 됩니다. 아래의 포스팅에 결제 방법을 잘 정리해두었으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