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겨울이었어요.
아내가 오래 고민하던 일을 드디어 시작했어요.
평소에 소품 만드는 걸 좋아했는데, 그걸 인터넷으로 팔아보겠다며 간이사업자로 등록을 했거든요.
솔직히 저도 처음엔 ‘사업자? 부가세? 너무 어려운 거 아니야?’ 하고 걱정했는데, 막상 알아보니까 간이사업자 제도 자체가 초보 창업자한테는 정말 좋은 제도더라고요.
특히 ‘부가세 면제’ 이거, 처음 들었을 땐 잘못 들은 줄 알았어요.
혹시 여러분도 저처럼,
“간이사업자는 어떤 혜택이 있어요?”
“부가세 안 내도 되는 거 맞아요?”
이렇게 궁금하셨다면, 오늘 글이 많은 도움이 될 거예요.
간이사업자, 도대체 뭐가 다른 걸까요?
처음 국세청에 사업자 등록을 하러 갈 때, 아내도 물어봤어요.
“일반사업자랑 간이사업자, 뭐가 달라요?”
✔️ 핵심은 딱 하나예요: 연 매출 8천만 원 이하면 간이사업자 가능!
간단하게 말하면요,
1년에 1억 4백만 원 이하의 매출이라면 간이과세자로 등록할 수 있어요.
정부에서는 작은 규모로 장사하는 사람들의 세금 부담을 줄여주기 위해 만든 제도예요.
“소규모 자영업자분들, 부가세 납부는 힘드니까 면제해드릴게요.”
딱 이런 취지라고 보시면 돼요.
그래서 아내처럼 소품을 인터넷으로 팔거나, 마켓에서 소규모 판매를 시작한 분들에게는 정말 유리한 제도예요.
부가세 면제? 정말 하나도 안 내나요?
여기서 가장 궁금한 부분이죠.
“간이사업자는 부가세 안 내도 돼요?”
👉 정답은, 일정 조건을 충족하면 ‘부가세 면제’가 됩니다.
간이사업자는 부가세를 ‘간편하게 계산’해서 내거나, 일정 매출 이하일 경우 아예 면제를 받기도 해요.
✔️ 예를 들어볼게요.
- 아내가 작년에 소품 판매로 벌어들인 금액은 총 600만 원 정도였어요.
- 간이과세자 기준으로는 연매출 4,800만 원 이하일 경우 부가세 신고는 해야 하지만 납부세액은 ‘0원’, 즉 면제예요.
👉 즉, 신고는 해야 해요. 하지만 낼 세금은 없을 수 있어요.
혹시 이거 보고 계신 분 중에
“어? 그럼 나는 작년에 5,000만 원 벌었는데, 부가세 얼마나 내야하나?”
궁금하시죠?
맞아요. 간이과세자라도 연매출에 따라 납부 여부가 달라지기 때문에 꼭 확인하셔야 해요.
혜택 | 간이과세자 | 일반과세자 |
---|---|---|
부가가치세율(매출 4,800만원 이상 시) | 업종별로 다름(1.5% ~ 4%) | 10% |
부가가치세 납부 면제 | 연 매출 4,800만 원 미만 | 없음 |
부가가치세 신고 횟수 | 연 1회 | 연 2회 |
세무조사 부담 | 낮음 | 보통 |
간이사업자 부가가치세 계산 예시
예를 들어 간이과세자가 3만 원짜리 소품을 인터넷으로 한 건 판매했다면,
연 매출 4,800만 원 미만일 경우
부가가치세 납부 의무가 면제돼요. 따라서 0원!
연 매출 4,800만 원 이상일 경우
부가가치세 10%에 업종별 부가가치율을 곱한 값이 적용되요.
따라서 3만원 짜리 소품 한 건(소매업)에 대한 부가가치세 계산은,
부가가치세 = 공급대가 X (업종별)부가가치율 X 10%
= 30,000 X 15%(소매업) X 10%
= 30,000 X 0.015
= 450원
해당 거래에 대해 부가가치세는 450원이 돼요.
만약 일반 과세자라면 부가가치세는 3,000원인데 그에 비하면 아주 많이 절약 가능하죠?
그럼 간이사업자는 세금 아예 안 내는 건가요?
그건 아니에요 😅
부가세는 조건 충족 시 면제될 수 있지만, 종합소득세는 따로 납부해야 해요.
매년 5월에 홈택스에서 ‘종합소득세 신고’를 하게 되는데요,
여기서 사업소득에 대한 세금을 내야 하죠.
저희도 처음엔 이 부분을 몰라서 깜짝 놀랐어요.
“부가세 안 낸다더니 또 세금 내래!”
하지만 부가세랑 소득세는 전혀 다른 개념이더라고요.
납부 기간이 다가오면 따로 알림이 오고,
손택스 앱에서 간단히 클릭 몇 번만 하면 종소세 신고가 가능해요.
간이과세자 혜택, 정리하면 이래요
처음 시작하시는 분들께 꼭 알려드리고 싶어요.
간이과세자 제도의 주요 혜택은 아래 4가지예요.
- ✅ 부가가치세 면제 가능 (연매출 4,800만 원 이하일 경우)
- ✅ 간단한 세금 신고 (복식부기 같은 복잡한 장부 필요 없음)
- ✅ 세무 대리인 없이 혼자서도 가능 (홈택스에서 셀프로 신고 가능)
- ✅ 간편장부만 잘 작성해도 충분 (앱 활용 추천!)
처음 사업 시작하셨다면, 이건 꼭 기억하세요
여러분도 혹시 요즘 인터넷 판매나 중고 거래로 소소하게 돈 벌고 계신가요?
혹은 아내분, 남편분이 갑자기 “나도 뭐 좀 팔아볼까?” 하셨나요?
그렇다면 간이사업자 등록부터가 시작이에요.
그리고 생각보다 어렵지 않아요.
저희 아내도 처음엔
“나 같은 사람이 사업자를 낼 수 있을까?”
라고 걱정했는데, 막상 해보니 10분 만에 온라인(홈텍스)으로도 끝났거든요.
- [신청/제출] → [사업자등록신청/정정 등] → [사업자등록신청(개인)]
- 사업자 유형에서 ‘간이’ 선택
제 생각에는요…
처음부터 완벽하게 하려고 하지 마세요.
일단 시작해서 천천히 배워가면 됩니다.
그리고 그 출발선에 있는 게 바로 간이과세자 제도예요.
특히 부가세 면제 혜택은 초보 창업자에게 정말 큰 장점이에요.
수익은 작아도, 세금 부담은 더 작게!
이게 가능한 게 바로 간이과세자랍니다.
혹시 이런 분들이라면 꼭 확인해보세요
- ✔️ 소품, 핸드메이드, 중고 판매로 월 몇십만 원 벌고 계신 분
- ✔️ 부업으로 온라인 마켓을 준비 중이신 분
- ✔️ 블로그, 인스타, 쿠팡파트너스로 소소한 수익 내시는 분
위에 해당된다면, 간이사업자 등록하고 세금 신고 부담을 줄여보는 것 추천드려요!
함께 읽으면 좋은 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