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행복하신가요? 행복을 되찾기 위해 3가지 관점으로 자가 진단 해보기

들판에서 풍선을 들고 있는 여성

블로그를 시작한 이후로, 줄곧 누군가에게 도움이 되는 정보만 써야 한다고 생각했어요.
잘 알지도 못하는 정보들을 찾아 헤매고, 정리해서 글로 옮기는 작업이 굉장히 힘든 과정이네요.

그러다 문득, 조금 숨을 고르고 나 자신에게 집중하는 글을 써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정보도 수익도 잠시 내려두고, ‘행복’에 대한 제 솔직한 이야기를 해보려 합니다.

블로그 100개 포스팅, 그런데 왜 마음이 더 무거워졌을까요?

지난 한 달여 동안, 짧은 여유 시간을 쪼개가며 블로그 글을 거의 100개 가까이 썼어요.
퇴근 후 밤늦게까지 노트북 앞에 앉아 ‘언젠가는 수익이 날 거야’라는 기대 하나로 버텼죠.

하지만 현실은 하루 조회수 10회도 되지 않고, 애드센스 승인도 두 번이나 거절당했습니다.
수익을 내기 위한 블로그였지만, 수익은커녕 점점 원동력을 잃고 있는 저 자신을 발견하게 됐어요.

그리고 어느 날 문득 이런 생각이 스치더라고요.

“한 번뿐인 인생인데, 이렇게 행복 없이 일만 하며 살아도 괜찮은 걸까?”

행복, 참 어려운 말이죠

요즘 저에게 행복이라는 단어가 참 낯설게 느껴집니다.
곰곰이 생각해봤어요.
“나는 왜 요즘 행복하지 않을까?”

제 나름대로 내린 결론은 세 가지였습니다.

돈, 건강, 그리고 반복적인 생활.
여러분은 어떠신가요? 요즘, 행복하신가요?

1. 돈이 없는 삶은 여유도 없더라고요

돈 지폐들

하루가 다르게 오르는 물가, 그에 비해 너무 부족한 수입.
이런 환경 속에서 마음의 여유는 점점 사라지고, 어떤 일을 하든 집중이 잘 되지 않아요.
그게 다시 결과로 이어지니, 또 스트레스가 커지고… 참 악순환이 반복되는 느낌입니다.

조사해보니, 돈이 없으면 뇌의 능력도 떨어진다는 연구 결과도 있더라고요.

1년에 한 번 수확하는 인도 농부를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
수확 후 금전적인 문제가 해결된 뒤에는 인지능력이 증가하고,
문제해결능력이 2배 가량 증가했다.

저도 실감이 납니다. 금전적 스트레스가 뇌 기능까지 떨어뜨린다니…

둘째 아이에게 개인 방을 주고 싶어 이사를 꿈꾸지만, 지금의 수입으로는 너무나도 먼 이야기예요.
그 답답함이 블로그 시작의 계기가 됐지만, 현실은 하루 조회수 5회 남짓.
이러다 보니 노력에 비해 돈은 안 벌리고, 스트레스만 쌓이고, 그래서 나 자신에 대한 의심과 자책이 심해지는 것 같아요.

2. 건강도 무너지고 있어요

청진기

스트레스를 계속 안고 살다 보니, 밤에 잠도 깊이 못 자고 새벽마다 깹니다.
컴퓨터 앞에 오래 앉아 있으니 손목은 시큰거리고, 다리도 무거워요.
몸이 점점 무너지는데, 걱정은 더 커져만 갑니다.
이 상태로 과연 앞으로 30년을 더 일할 수 있을까?

3. 반복되는 생활, 숨 쉴 틈이 없네요

힘들어 하는 회사원

매일 아침 출근, 퇴근, 글쓰기, 수면.
이 단순한 반복이 너무 지쳐요.
심지어 이 모든 일들이 제 의지와는 상관 없이 ‘생계를 위한 선택’이라는 점에서
더욱 힘들게 느껴지더라고요.

여러분도 혹시 이런 루틴 속에서 지치고 계시진 않나요?

행복의 조건, 나에게 적용해보니…

자기결정성이론

한 심리학(자기결정성 이론 : Self-determination theory)에서는
행복의 조건을 ‘자율성’, ‘유능성’, ‘관계성’ 이렇게 세 가지로 나누더라고요.

  • 자율성(autonomy): 내가 결정하고, 내가 선택해서 살아가는 삶
  • 유능성(competence): 내가 잘하고 있다고 느끼는 능력과 성취
  • 관계성(relatedness): 나와 마음이 잘 통하는 사람들과의 연결

어떤 경우는 두 가지 이상의 조건이 동시에 충족될 때도 있어요. (예: 타인에게 인정 → 유능감 + 관계성)

이 기준으로 지금 내 상태를 진단해봤습니다.

자율성, 거의 없네요

회사 일도, 블로그도 사실 제 ‘의지’라기보다 ‘의무’에 가까워요.
내가 뭘 하고 싶은지 보다 ‘이걸 안 하면 안 된다’는 불안감에 하루하루를 살아가요.

가끔 블로그가 너무 쓰기 싫을 때는 그냥 유튜브나 웹툰을 보는데,
그마저도 ‘내가 이래도 되나?’ 하는 죄책감이 따라붙습니다.
결국 그것도 자율적인 행위라고 보기 힘든 것 같아요.

유능성, 느낄 틈이 없어요

회사에선 오래도록 저평가되고 있고,
집에서는… 솔직히 설거지, 빨래를 잘한다고 해서 나 자신이 유능하다고 느끼긴 어렵잖아요.

어쩌면 그래서 많은 분들이 사회에서 인정받고 싶은 마음이 드는 걸지도 모르겠어요.
저 역시 그렇고요.

관계성, 다행히 가족이 있어요

그래도 가족만큼은 저에게 큰 위안이에요.
아이들 웃는 얼굴을 보면, 하루 중 그때가 가장 행복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이 짧은 시간이 다음 날 살아갈 힘이 되더라고요.

한 재미있는 이야기가 있어요.
게임이 중독을 유발하는 이유는, 이 세 가지 욕구를 잘 충족시켜주기 때문이래요.

  • 자율성 : 게임 속 세계에서는 내가 원하는 방식으로 자유롭게 플레이할 수 있죠.
  • 유능성 : 캐릭터가 점점 성장해가는 과정을 보며 성취감과 대리 만족을 느껴요.
  • 관계성 : 게임 안에서 다른 사람들과 소통하거나, 친구들과 PC방에서 함께 즐기는 시간은 큰 즐거움이에요.

결국, 근본 문제는 ‘돈’이었어요

병 속에 동전들

제가 스스로를 돌아보면서 느낀 건, 자율성도, 유능성도 많이 부족한 상태라는 거예요.
그런데 그 원인을 깊이 들여다보니, 결국엔 ‘돈’이라는 문제로 귀결되더라고요.

그리고 그게 참 아이러니한 게,

  • 돈이 부족
  • 그래서 돈을 벌려고 회사에 다니고, 블로그도 하고
  • 그런데 그 과정에서 자율성유능감은 더 떨어져요 (하기 싫은 일을 의무적으로 하거나, 회사에서 저평가 받으니까요)
  • 결국 더 행복하지 않은 상태가 반복되는 거죠

이 악순환의 고리, 여러분도 느껴보신 적 있으신가요?

물론 돈이 많다고 해서 행복감도 무조건 비례해서 증가하는 것은 아니겠지만,
지금의 저에게는 가장 중요한 요소인 것 같아요. (아마 많은 분들이 그럴 것 같아요)

그럼 어떻게 해야 행복해질 수 있을까?

곰곰히 생각해보니, 저에게는 유능감을 회복하는 게 첫걸음인 것 같아요.

회사에서 인정을 받고 연봉을 올리는 건 현실적으로 당장은 어렵고,
그렇다면 지금 제가 가장 노력할 수 있는 건 블로그에서 성과를 내보는 일이라고 판단했습니다.

아직 수익은 없지만, 이 과정을 버티고 이겨낸다면
언젠가는 블로그가 안정적인 부수입이 되고,
그걸 발판 삼아 더 여유 있는 일자리로 옮기거나 진짜 자율성을 얻는 날이 올 수도 있겠죠.

  • 블로그 수익 → 유능감 회복(내가 새로운 뭔가를 해냈다는)
  • 부수입으로 돈 문제 해결 → 자율성 회복(이직, 퇴사 등)
  • 즉, 유능성과 자율성 회복 → 더 큰 행복감

정말 이렇게만 된다면… 지금보다 10배, 100배는 행복해질 수 있을 것 같아요.

마무리하며

지금 이 글을 읽고 계신 여러분,
여러분은 과연 행복한 삶을 살고 계신가요?

사실 누구에게나 힘든 시기는 찾아오는 것 같아요.
저도 꽤 오래 ‘버티기’만 해왔는데,
이렇게 스스로를 들여다보고 나니
묘하게 마음이 가벼워졌습니다.

혹시 여러분도 지금 답답한 마음이 있다면,
‘내가 왜 힘든지’ 구체적으로 한 번 진단해보세요.
막연한 불안도, 글로 써보면 훨씬 구체적인 해답의 실마리가 보일지도 모릅니다.

우리 모두,
조금씩이라도 더 행복한 내일을 함께 만들어가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