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자동차세 납부 기간 시작! 최대 15% 할인받는 방법 아시나요?

세금 계산기

여러분, 자동차세 고지서 받아보셨나요?
매년 6월과 12월이면 어김없이 찾아오는 자동차세 납부 기간.
저도 며칠 전, 문자 한 통을 받고 “아, 또 이 시즌이 왔구나…” 싶더라고요.

사실 예전에는 그냥 안내 오는 대로 냈는데요,
연납 할인이나 요일제 할인 같은 혜택을 알고 나서는
“이렇게 쉽게 절약할 수 있었는데 왜 안 했지?” 싶더라고요.

그래서 오늘은,
자동차세 납부 대상부터, 할인받는 방법까지
저처럼 처음엔 몰랐던 분들도 이해할 수 있게 하나하나 정리해드릴게요.

🚗 자동차세, 누가 언제 내야 하나요?

자동차 위에 돈이 올려진 모습

자동차세는 자동차를 소유하고 있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내야 하는 세금입니다.

  • 1차분 납부 기간: 6월 16일 ~ 6월 30일
  • 2차분 납부 기간: 12월 16일 ~ 12월 31일
  • 만약 연초에 연납을 신청했다면 이 시기엔 납부하지 않아도 됩니다.

자동차세는 차량의 종류, 배기량, 연식에 따라 금액이 달라지고,
만일 내야 할 세금이 10만원 이하라면 6월에만 내면 돼요.

여러분도 혹시,
“내 차는 얼마 나올까?” 궁금하셨죠?
지자체 홈페이지나 ‘위택스’에서 미리 조회해볼 수 있어요.

할인받는 꿀팁① – 연초에 ‘연납’하면 5% 할인!

자동차세를 1년에 두 번 나눠서 낼 수도 있지만,
한 번에 미리 다 내면 5% 할인이 가능합니다.
바로 자동차세 연납 제도예요.

언제 신청하나요?

  • 매년 1월에 연납 신청을 하시면 할인율이 가장 높아요.
  • 위택스(wetax.go.kr) 또는 스마트위택스 앱에서 신청 가능

위택스 바로가기

(부산전용)이텍스 바로가기

예를 들어
제가 작년에 연납했을 때는
총 42만 원 나올 세금이 40만 원 정도로 할인되더라고요.
한 번에 내긴 부담되지만, 할인 폭이 커서 후회 없었어요.

혹시 지금 이 글을 6월에 보고 계시다면,
아쉽지만 1월 연납은 이미 지나갔을 수 있어요.
하지만 일부 지자체는 3월, 6월, 9월에도 부분 연납 신청을 받을 수 있으니
꼭 한 번 확인해보세요. (납부 기간 : 16일~말일)

할인받는 꿀팁② – 차량 요일제 등록 시 최대 10% 할인!

부산시에서는
차량 요일제를 등록하면 자동차세 10% 감면 혜택이 있어요.

차량 요일제가 뭐냐고요?

쉽게 말해,
일주일 중 하루는 차량 운행을 자제하겠다는 약속이에요.
그날은 자가운전 대신 대중교통을 이용하자는 취지죠.

이렇게 등록하면?

  • 자동차세 10% 감면 (연납 할인까지 중복 혜택 가능!)
  • 주거지주차장 20%, 공영주차장 50% 할인 혜택도 가능!

신청 방법은?

  • 부산 시민의 경우 ‘부산광역시 승용차요일제 홈페이지’에서
    간단히 온라인 등록 가능해요.

승용차 요일제 홈페이지 바로가기

제가 해보니까 5분도 안 걸렸고,
그 이후로는 자동 적용되어서 따로 갱신 안 해도 되더라고요.

여러분도 평소에 일주일 하루쯤은 대중교통 이용 가능하시다면,
요거 진짜 추천드려요.
세금도 아끼고, 환경도 지키고 일석이조잖아요?

공휴일에는 승용차요일제가 해제되니(운행가능) 아래 공지사항 참고하시길 바랄게요!

승용차 요일제 공휴일 해제 공지

📝 자동차세 납부 방법, 어렵지 않아요!

요즘은 모바일로도 간편하게 낼 수 있어요.
아래 방법 중 편한 걸로 골라보세요.

📱 모바일 납부

  • 스마트 위택스 앱
  • 카카오페이, 토스 등 간편결제 앱

💻 PC 납부

  • 위택스(wetax.go.kr)
  • 인터넷 지로(giro.or.kr)

🏧 무인기기 납부

  • 은행 CD/ATM기에서 신용카드로 납부 가능

💳 카드 납부 팁

자동차세도 신용카드로 무이자 할부 가능한 경우가 많아요.
또 카드사별로 포인트 적립이나 이벤트 캐시백이 있는 경우도 있으니
꼭 카드사 혜택도 체크해보세요.

위택스로 바로 납부하기

🗨️ 마무리: 세금은 피할 수 없지만, 아낄 수는 있어요

제가 처음으로 연납 신청을 했을 때,
“이거 진작 할걸…”이라는 생각이 들었어요.

여러분도 자동차세 내야 한다면,
이왕이면 혜택을 챙겨서 내보시는 건 어떨까요?

“자동차세, 똑똑하게 아껴보자구요!”

답글 남기기